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
1. 데이터베이스
- 일반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조직, 개인이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일정한 형태로 저장해 놓은 것
- 자료를 구조화하여 중복된 데이터를 없애고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관리
-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+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데이터의 손상을 피하기 + 필요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기능의 소프트웨어 → 이를 만족시켜주는 시스템 =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)
2. 데이터베이스 종류
- 계층형
-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에 데이터 저장, 관리
- 1:N 관계 표현
- 네트워크형
- 오너와 멤버 형태로 데이터 저장
- 1:N, M:N 표현
- 관계형
- 릴레이션에 데이터 저장, 관리 + 집합 연산과 관계 연산 가능
- NoSQL
- 키와 값의 형태로 저장
-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 관리 및 접근
3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1970년 E.F Codd 박사가 처음으로 소개
- 기존의 파일시스템, 계층형, 망형 데이터베이스를 대체하고 주력이 됨
- 기업의 핵심 데이터는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+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조작가능한 SQL 문장으로 관리
- 파일시스템은 여러명이 동시 검색은 가능하지만 동시 입력, 수정 등을 할 수 없어서 정보 관리 어려움 /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동시성 관리, 병행 제어로 여러 병이 동시에 데이터 공유 및 조작 가능
- 정규화를 통해 이상 현상 제거, 데이터 중복 피할수있음
- 다양한 제약조건 사용해서 데이터 무결성 보장 가능